반응형
SMALL

성경인물 61

성경인물설교(33) 다니엘(단1:1-21)

● 남유다왕국은 바벨론에 3차례 침략 받았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므로 이 시간 간단하게나마 살펴보고 지나간다.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은 애굽군대와 길가메쉬에서 싸워 이긴 후 계속 그의 영토를 시리아와 팔레스틴 지역으로 확장해갔다. 그리하여 BC605년 9월에 예루살렘을 처음 공격했다. 이에 당시 남유다 여호야김 왕은 항복하고 느부갓네살에게 조공을 바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느부갓네살은 유다가 저항하지 못하도록 왕족과 귀족들을 포로(볼모)로 잡아 갔던 것 같다.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이 바벨론으로 잡혀 갔던 때가 바로 이 때이다. 그후 느부갓네살은 BC601년 애굽 본토를 공격했으나 애굽 원정에 실패한다. 그러자 3년 동안 느부갓네살에게 조공을 바치던 여호야김은, 선지자 예레미야의 말을 듣지 않고, 느..

성경인물 2023.06.09

성경인물설교(35) 아모스(암5:1-24)

● 공의를 선포한 선지자로 잘 알려진 아모스는 예루살렘에서 남쪽으로 약 16km 정도 떨어진 드고아 출신의 목자였다. 드고아는 해발 약 840m 정도의 고원지대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곳에서 해수면보다 392m나 낮은 사해에 이르는 급경사의 지역이 흔히 ‘유대광야’ 혹은 ‘드고아 들’이라고도 부르는 목축지대이다. 아모스는 제사장 가문 출신도 아니었고 선지자 학교에서 배우던 선지자 지망생도 아니었다. 그는 평범하게 시골에서 양을 치며 뽕나무를 배양하던 농부였다. 하지만 그는 여호와 하나님의 부름을 받고 북이스라엘에서 선지자의 사명을 감당한 인물이다. 아모스는 호세아선지자와 동시대의 선지자로서, 호세아가 북이스라엘 출신으로 북이스라엘에서 활동한 데 비해, 아모스는 남유다 출신임에도 북이스라엘에서 선지자 사명을..

성경인물 2023.06.09

성경인물설교(36) 요나(욘4:1-11)

● 지금도 이스라엘에 가면, 예수님이 어릴 때 자랐던 나사렛에서 물로 포도주를 만드신 처음 이적을 베푼 가나로 넘어가는 도중에 요나의 무덤이 있다. 이 고대의 유적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요나서의 내용이 초자연적인 이적들이 많이 나오는 까닭에 사람들이 지어낸 이야기로 오해하기도 하나, 요나가 실재의 역사적인 인물이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그리고 요나선지자는 열왕기하14:25에도 등장하는데, 여로보암2세 때 북이스라엘의 지경이 회복될 것을 예언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의 부친 아밋대는 스불론지파의 땅 가드헤벨 사람으로 소개되고 있는데, 가드헤벨은 나사렛 북동쪽 약 5km 지점에 위치한, 신약시대의 갈릴리지방의 작은촌락이다. 그래서 요나를 갈릴리 출신 선지자라고도 말한다. '요나'라는 이름의 ..

성경인물 2023.06.09

성경인물설교(37) 세례요한(눅1:5-25,57-66)

● 구약성경은 말라기로 끝이 난다. 포로로 잡혀갔던 사람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성전과 성벽을 재건하였다. 하지만 아직 바사의 식민지였고, 나라를 재건할만한 힘이 없었다. 그저 바사제국이 다스리는 한 변방 지역으로 남아있었다. 바사제국은 유다를 너그럽게 통치하였기 때문에 고향으로 돌아온 유대인들은 큰 어려움 없이 그럭저럭 살아가고 있었다. 포로에서 돌아온지 약 100년이 지나, 말라기선지자가 활동할 당시, 유대인들은 우상숭배는 하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열심히 여호와를 섬긴 것도 아니었다. 사회 전반에 걸쳐 모든 규범이 해이해져 있었고, 죄악된 생활이 일상화 되었으며, 소망 없이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일부 사람들은 다시 우상숭배에 빠지기도 하고, 이방민족과 잡혼이 성행했고, 정신적 혼수상태에서 벗..

성경인물 2023.06.09

성경인물설교(38) 요셉(마1:18-25)

● 성경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들 가운데, 너무나 중요한 인물인 것 같은데,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잊혀진 인물이 있다. 그것은 바로 예수님의 법적 부친인 요셉이다. 여러분은 예수님의 부친으로 성경에 등장하는 요셉에 대해 평소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애굽의 총리대신이었던 요셉과 이름이 같아, 가끔 혼동을 일으키는 인물로, 예수님의 부친이자 마리아의 남편인 요셉을 어떤 인물로 평가하고 있는가? 그의 역할은 무엇이었을까? 신약성경은 예수의 법적 부친인 요셉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마태복음 1장의 족보는 예수의 족보다. 그런데 1:16에 보면,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으니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 뭔가 좀 이상하지 않은가? 이 족보는 예수님의 족보이자 다윗의 자손이..

성경인물 2023.06.09

성경인물설교(40) 시므온과 안나(눅2:22-38)/ 박영철 목사

● 예수께서 탄생하신 후 일정기간이 지나자 요셉과 마리아가 결례의 율법을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에 올라갔다. 율법에 의하면, 자녀를 낳은 산모는 누구든지 부정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일정기간(남아 40일, 여아 80일) 동안 외출 및 성전 예배를 일절 금지시켰고, 산모는 이 기간이 지나야 비로소 정결예식을 통해 부정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스라엘에서 난 모든 초태생은 하나님께 바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예수님을 하나님께 드리기 위해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간 것이다. 이는 이스라엘이 출애굽할 당시 하나님의 장자 재앙으로부터 구원받은 것을 기념하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이스라엘의 모든 장자를 위하여는 레위 지파 전체가 거룩하게 구별되었으므로, 모든 이스라엘의 장자가 별도로 하나님께 바쳐질 필요..

성경인물 2023.06.09

성경인물설교(41) 동방박사(마2:1-12)

● ‘성탄절’, ‘크리스마스’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여러분의 머리 속에 어떤 기억들이 있는가? 길거리엔 크리스마스 캐럴이 들리고, 예배당은 물론 거리 곳곳에 멋진 크리스마스트리가 세워지며, 저녁마다 성탄절에 발표할 연극이며 찬양연습을 하면서 따끈한 호빵과 새콤달콤한 귤을 간식으로 먹으며 즐거워했던 추억이 있는가? 아이들은 정말 산타크로스 할아버지가 있는가 의심하면서 성탄절에 받을 선물을 손꼽아 기다리기도 했다. 그런데, 사실 예수의 탄생은 당시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으로 매우 중대한 하나의 사건이었다. 우리는 상업화된 크리스마스의 분위기에 편승해, 예수 탄생의 심각성을 망각해 버린 지 오래되었다. 그러나 잘 생각해보라. 예수께서 이 땅에 태어났을 때, 천군천사들이 동원되어 찬송을..

성경인물 2023.06.06

성경인물설교(42) 헤롯(마2:1-23) / 박영철 목사

● 신약성경에 보면 이름이 비슷하여 혼동을 일으킬 때가 더러 있는데, 대표적인 인물이 헤롯 왕이다. 오늘 우리는 성경에 등장하는 여러 헤롯 왕들이 동일 인물인지, 아니면 다른 사람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먼저 성경 몇 곳을 찾아서 확인해보자. 1)마2:1이하 - 예수님께서 베들레헴에서 태어나실 당시 유대 땅의 왕은 헤롯이었다. 2)마2:22 아켈라오 - 부친 헤롯을 이어 유대의 임금이 되었다. 그의 정확한 이름은 헤롯 아켈라오였다. 3)마14:1이하 - 예수님 공생애 시작 후 등장하는 분봉왕 헤롯. 세례요한의 목을 벰 4)눅3:1이하 - 헤롯이 갈릴리의 분봉왕으로, 그 동생 빌립이 이두래와 드라고닛 지방의 분봉왕으로... 이때 역시 예수님의 공생애가 시작될 무렵, 세례요한의 등장 시기 5)행12:1이하..

성경인물 2023.06.06

성경인물설교(43) 베드로(마16:13-28)

● 시몬 베드로는 갈릴리 바다 북쪽 가버나움 근처 벳새다 출신 어부로, ‘요한’(요나라고도 불림)의 아들이며 안드레의 형이다. ‘베드로’라는 이름은 시몬이 예수님으로부터 받은 이름으로 히브리말로 ‘바위, 반석’을 의미하며, 아람어로 ‘게바’라고도 불렀다. 본명 시몬은 ‘하나님께서 들으신다’는 뜻이다. 예수님의 수제자가 되었으며, 바울은 그를 ‘초대 교회의 기둥’ 또는 ‘할례자(유대인)의 사도’라고 불렀다. 그는 기혼자로 전도 여행에 아내를 데리고 다녔다. 베드로는 신약시대 위대한 사도의 한 사람으로서 성경에 그 이름이 160회 이상이나 기록되어 있다. 12사도의 명단에 네 번 나오는데 다른 사도들의 순서는 각각 다르게 기록되어 있으나 베드로가 수위를, 그리고 가룟 유다가 말석을 차지하는 것만은 변함이 없..

성경인물 2023.06.06

성경인물설교(44) 요한(계1:1-20)

● 예수님의 제자 가운데 요한의 존재는 특이하다. 요한은 예수의 공생애 초기부터 제자로 부름받아 3년동안 동행했으며, 오순절 다락방 성령강림 이후 처음 교회가 시작될 때부터 초대교회가 제자리를 잡고 이방세계로 복음이 본격적으로 전파되어 나갈 때까지 오랫동안 활약했던 인물이다. 이 기간 동안에 교회는 유대교의 종교적 박해와 로마제국의 정치적 박해 및 이단의 공격 등 대내외적인 시련을 거치면서 교회의 조직 정비, 정통 교리의 정립 등을 이루게 되는데, 다른 사도들은 일찍 순교하였지만, 요한은 AD100년경까지 살면서, 교회가 세워지는 이 모든 중요한 고비마다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었다. 요한복음, 요한서신, 요한계시록 등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아래 기록된 것들이다. 그래서인지 교회사에서 요한이 차지하는 ..

성경인물 2023.06.06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