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는 이야기

"스마트폰 보느라 바빠"...성인 10명 중 6명, 1년에 책 한 권도 안 읽어

성북동 비둘기 2024. 4. 21. 13:23
728x90
연간 독서율 역대 최저 기록 또 "경신"

문체부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 발표
독서량마저 2021년보다 0.6권 감소해
소득에 따라 독서율 격차
...월소득 200만원 이하는 9.8%

언제인가부터 지하철에서 독서하는 모습은 희귀한 장면 중의 하나가 됐다. [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 자료]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 10명 가운데 약 6명이 1년 간 책을 단 한 권도 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18일 발표한 '2023 국민 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2022년 9월∼2023년 8월) 성인 가운데 일반 도서를 단 한 권이라도 읽거나 들은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종합독서율이 43.0%에 그쳤다.

 

직전 조사 시점인 2021년 대비 4.5%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1994년 독서 실태조사(격년)를 실시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매체별로는 전자책과 오디오북을 제외한 종이책 독서율이 32.3%로, 성인 10명 중 7명이 종이책을 1년에 1권도 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연간 종합독서율은 처음 조사가 이뤄진 1994년까지만 하더라도 86.8%에 달했다. 하지만 전자책이 통계에 포함된 2013년(72.2%)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걸으며 매번 역대 최저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성인의 연간 종합독서량은 2021년보다 0.6권 줄어든 3.9권이었다. 특히 종이책 독서량은 1.7권에 그쳤다. 도서 구입량은 종이책의 경우 1.0권, 전자책은 1.2권이었다.

 

독서 장애요인으로는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24.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스마트폰이나 게임 등 책 이외의 매체를 이용해서'(23.4%), '책 읽는 습관이 들지 않아서'(11.3%)라는 답변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소득에 따라서도 독서율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월 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고소득층의 독서율은 54.7%였으나, 월 소득 200만원 이하인 경우 독서율이 9.8%에 불과했다.

 

김경동 기자 weloveyou@pennmike.com

728x90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수 김 호중 사건을 보면서  (0) 2024.05.29
사랑할 땐 별이 되고  (0) 2023.11.06
노란 손수건  (0) 2023.11.06
가을 사랑  (0) 2023.11.06
행복의 문을 여는 비밀번호  (0) 202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