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식품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면서 식탁 '기본반찬'인 김 가격도 일제히 오르기 시작했다.
18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조미김 시장 점유율 2위,3위,5위로 추산되는 광천김과 성경식품, 대천김이 김 가격을 잇달아 올리고 있다.
성경식품은 지난 1일 슈퍼마켓 등 일부 유통 채널에서 김 제품 가격을 평균 10%가량 올렸으며 다음 달에는 대형마트와 쿠팡 등 온라인에서도 가격을 동일한 수준으로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독도가 표시된 한반도 지도가 그려진 포장으로 잘 알려진 '지도표 성경김'이 대표 제품이다.

독도가 표시된 한반도 지도가 그려진 포장으로 잘 알려진 '지도표 성경김'은 점유율이 10%를 웃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원초 가격이 1년 전보다 50% 이상 올라 가격 인상이 필수적이었다"면서도 "식탁의 기본 필수품인 김이 너무 많이 오르면 소비자가 체감하는 부담이 크기 때문에 최소한으로 올리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광천김은 지난 1일 대부분 품목 가격을 15∼20% 인상했다. 이보다 한 달 앞서 일부 품목 가격을 올린 바 있다.
광천김도 원초 가격 급등 때문에 제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었다는 입장이다.
회사 관계자는 "작년 초반에는 원초 120㎏ 한 망이 7만원이었는데 최근에는 5배인 35만원까지 갔다"면서 "공급이 한정적인데 수요가 많아서 그렇다. 중국 바이어가 와서 입도선매하고 일본도 우리나라 것을 사 간다"고 말했다.
그는 "원초 가격이 안정되는지 봐야 한다"면서 가격 추가 인상 가능성도 있다고 시사했다.
대천김은 지난달 김가루 등 제품 가격을 약 20% 올렸다. 해농은 지난해 말부터 제품 가격 인상을 잇따라 공지한 데 이어 지난 5일에도 김자반볶음 제품 가격을 8∼9% 인상한다고 알렸다. 동원F&B 와 CJ제일제당 등 대기업은 아직 가격 인상에 신중한 상황이다. 그러나 가격 인상 부담이 커지면 결국 대기업도 김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성도의 세상읽기 > 정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동훈, "뜨거웠던 4월 여러분의 절실한 표정들 잊지 못해...무슨 일 있어도 국민 배신 안 할 것" (0) | 2024.04.21 |
---|---|
"엄마, 70만원 보내주세요" 1분기 서울 원룸 월세 평균 ‘72만8000원’ (0) | 2024.04.19 |
치명적 모순 드러낸 이화영의 ‘술자리 회유’ 발언, 6월30일 진술하고 7월 3일 회유당해? (0) | 2024.04.19 |
[단독] 피해자 尹 대통령이 탄원서 제출했는데도 판사가 우파활동가 김상진씨 법정구속...시민사회 경악 (1) | 2024.04.19 |
같은날 나란히 경매에 나온 이병철 회장과 신영복의 글씨, 가격은? (0)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