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만에 '해군 출신' 합참의장
청문회 통과 여부가 발탁의 변수
육군총장 박안수·해군총장 양용모·공군총장 이영수
대장 7명 모두 교체하며 기수 크게 낮춰
문재인 정부 때 고위 장성 진급자,
....군 수뇌부에서 거의 사라져
정부는 29일 차기 합동참모의장에 김명수 해군 작전사령관(중장·해사 43기)을 내정하는 등 대장급 7명 전원에 대한 인사를 단행했다.
김승겸 현 합참의장의 후임으로 김 사령관을 내정한 것은 깜짝 인사로 평가된다.
정부가 현역 중장을 대장으로 진급시켜 곧바로 군 서열 1위인 합참의장에 발탁한 것은 1994년 미군 4성 장군인 한미연합사령관이 보유하고 있던 평시 작전통제권이 한국군 합참의장에게 넘어온 이후 처음이다.
또 해군 출신 합참의장 발탁은 2013년 최윤희 의장(재임기간 2013∼2015년) 이후 10년 만이며, 역대 두 번째다. 비육군 출신 합참의장은 역대 다섯 번째다.
이날 신임 육군참모총장에는 제75주년 국군의날 행사기획단장 겸 제병지휘관을 역임한 박안수 중장(육사 46기)이 기용됐다. 해군참모총장에는 양용모 합참 군사지원본부장(중장·해사 44기), 공군참모총장에는 이영수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중장·공사 38기)이 각각 낙점됐다.
한미연합사부사령관에는 강신철 합참 작전본부장(중장·육사 46기)이 임명됐다. 지상작전사령관에는 손식 특수전사령관(중장·육사 47기), 육군 제2작전사령관에는 고창준 수도군단장(중장·3사 26기)이 각각 발탁됐다.
김명수 합참의장 내정자는 다음주 초 국무회의 의결 및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국군 통수권자인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하게 된다. 합참의장은 현역 군인 중 유일하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해 청문회 통과 여부가 발탁의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김 내정자는 1989년 해군사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해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소위로 임관했다.
대령 시절에는 한국 해군의 첫 이지스급 구축함인 세종대왕함의 함장을 지냈으며, 장성 진급 이후에는 '해작사 해양작전본부장', '제1함대사령관', '해군사관학교장', '해군참모차장 '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이번 군 인사를 통해 군 수뇌부의 사관학교 기수는 2∼3기수 낮아졌다. 김 내정자는 육사 45기와 동기로 김승겸(육사 42) 현 의장보다 3년 후배다. 신임 육·해·공군 참모총장도 모두 전임자보다 2년 후배다.
이에 따라 합참의장과 육·해·공군 참모총장은 윤석열 정부 들어 중장으로 진급한 장성들로 교체됐고, 문재인 정부 때 중장 이상 고위 장성으로 진급한 인물도 군 수뇌부에서 거의 사라지게 됐다.
이번에 4성 장군 보직을 받은 인사 중 지난 정부 때 중장으로 진급한 인물은 강신철 신임 연합사 부사령관이 유일하다.
그는 문재인 정부 때 국가안보실 국방개혁비서관으로 근무했지만,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4성 장군 진급 가능성이 큰 보직인 합참 작전본부장에 등용된 바 있다.
정부는 "힘에 의한 평화를 뒷받침할 국방태세 구축 및 국방혁신 4.0 추진 등 정예 선진강군 건설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역량 및 전문성을 우선 고려했다"고 이번 인사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북한의 지속적인 핵 및 미사일 위협, 불안정한 국제 안보정세 속에서 다양한 야전 경험으로 불확실한 전장에서 승리할 수 있는 탁월한 전투감각을 보유한 장군, 훌륭한 작전지휘 역량으로 군내 신망이 두터운 장군을 발탁했다"고 덧붙였다.
김경동 기자 weloveyou@pennmike.com
'성도의 세상읽기 > 안보 외교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대 10만t 매장된 우라늄 광상 발견" 중국, 원자력 추가개발 박차 가하나 (0) | 2023.10.30 |
---|---|
이스라엘군, 가자 침공 개시! (0) | 2023.10.29 |
북한 독재자 김정은 칭송하던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구조요청은 미국 자본가에게 보내 (0) | 2023.10.29 |
[김태우 칼럼] 이스라엘 다음의 전장(戰場)은 한반도일 수도 있다 (0) | 2023.10.28 |
UN, 이스라엘 향해 '하마스 휴전 요구 결의안' 통과···열받은 이스라엘 "비열하다" (0) | 2023.10.28 |